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랑그랑의 평생교육 이념 평생교육이 유네스코에 의해서 처음으로 제창된 것은 1965년의 일이다. 프랑스의 성인 교육학자이며 유네스코의 교육부장이었던 랑그랑은 그해 12월에 파리에서 개최된 성인교육 추진 국제 위원회에서 '영구교귱ㄱ'이라는 제목의 기조 논문을 제출하였다. 이것이 평생교육을 국제적으로 관심을 갖게 한 최초의 계기가 된 것이다. 이것은 유네스코에 의해서 lifelong education으로 번역되어 공용어가 되었으며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평생교육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 후 유네스코의 평생교육의 구상은 교육정책의 기본 이념으로서 전 세계에 급속하게 보급되어 갔다. 이때 평생교육의 기본 원리를 제시한 랑그랑은 평생교육 이념의 핵심을 교육의 통합에 두었다. 그는 평생교육의 통합 원리를 수직적 교육과 수평적 교..
평생교육의 역사와 의미 교육은 인간의 신체적·지적·정서적·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이다. 그러한 인간의 요구는 본질상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영속적으로 제기되는 것으로서, 교육이 어떤 특정 연령층이나 특정 교육기관에서만 전개되지 않고 평생 추진되는 과정이 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세계 여러 나라들은 오늘날의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교수 내용, 교수 방법, 선발방법, 교사 양성 제도, 학제 등을 개선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행 학교 교육은 본질적인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다. 즉, 1950년대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과 지식의 폭발로 인한 경제·사회·문화구조의 변동은 기존 교육체계의 개혁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1960년대 들어서면서,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 여러..
양과 질의 갈등 학교교육의 한계성학교는 학생에게 문화유산을 조직적·체계적으로 전승시키는 곳이자 각자가 적성을 찾아 키워 나감으로써 개성을 실현하며, 나아가서 사회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어 나가게 하는soni-history.tistory.com   둘째, 교육의 양과 질의 균형 발전이 문제이다. 광복 후의 계속된 교육 기회 확대 정책으로, 현재 초등교육은 완전 취학에 달하였고, 중등교육의 보편화, 고등교육의 대중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학생 인구에 비하여 교육비 투자가 저조하여 학교 교육 여건이 크게 개선되지 못하여 교육의 질적 저하가 크게 문제 된다.    이런 문제는 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육여건 개선에 대한 자원 부족으로 누적되어 온 학교 및 학급 규모의 과대화, 과밀화, 교직원 수의 부족..
전통과 외래의 갈등 넷째, 우리 교육의 전통성과 외래 사조의 조화로운 접목의 문제에 관한 것이다. 지정학적으로 한국 사회는 다양한 외래문화, 외래 사조와 접촉해야 할 위치에 있고 역사적으로 많은 외세에 직접·간접으로 영향을 받아 왔다.   대륙적인 것과 해양인 것,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 중국 문화와 일본 문화, 그리고 사회주의 것과 자본주의 것들이 교차하는 위치에 놓여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처럼 다양한 외래문화는 소화불량에 놓여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처럼 다양한 외래문화는 소화불량 현상을 일으켜, 즉 너무나도 거대하고 비연속적인 성격 때문에 우리 교육은 오히려 내부적인 갈등과 혼란 그리고 시행착오적인 과정을 겪어야 했다.    과거에는 이런 외래문화에 대한 사대주의 사상 때문에 무비판적, 기계적, 맹목적 이입..
가치의 갈등 한국의 학교교육 과제지난 40여 년 동안 한국 교육은 모든 국민들에게 교육 기회를 확대·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실현은 물론이고 국가·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에 크게 이바지하여 왔다. 교육soni-history.tistory.com 첫째, 교육의 수단적 가치와 목적적 가치의 갈등에 관한 문제이다. 흔히 교육은 교육 외적인 정치·경제·사회·문제의 제 영역으로부터 영향을 주고받는 상보적인 관계로 규정된다. 이러한 타 영역과의 관계 속에서 교육은 목적과 수단으로써의 교육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목적으로서의 교육은 목표 자체가 개인의 자아실현이나 인격 완성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수단으로써의 교육은 국가 발전이나 사회발전 등 타 영역을 위한 수단이나 개인의 사회적 지위 획득을 수단으로 보는 입장이다.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