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래서 삶의 주요 영역에 대한 사람들의 만족도, 복지에 대한 인식, 일상적 생활 수준에 대한 인식, 공동체 질서에 대한 평가, 일과 여가에 대한 평가 등이 새로운 연구과제로 등장했다.
인간 발전 지수(HDI : human development index)로 세 가지 기본변수, 즉 기대수명, 문해율, 그리고 1인당 GNP가 통상 사용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아닌 등'와 '센'은 이 3가지 요소의 최종적 결과만으로 인간 발전을 판단할 수는 없으며, 선택할 수 있는 서로 다른 권리 가운데에서 고를 수 있는 자유도 인터넷 강의 발전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한다. 굶고 있는 극빈자, 금식 중인 승려 그리고 단식투쟁 중인 '간디'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이 차이는 셋이 공히 열량을 적게 섭취하고 있다는 사실과는 상관없다. 즉, 굶고 있는 극빈자와 나머지 두 사람 간의 선택 요소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든 것이다.
또 '아닌 등'와 '센'은 모든 나라들을 인간 발전이 낮은 수준·중간 수준·높은 수준의 새 그룹으로 나누자고 제안하였다. 중간 수준인 국가에는 기대수명, 문해율, 그리고 1인당 GNP에 각기 보충 지표를 추가해서 차단하자는 것이다. 즉, 수명에 관계된 범주 안에 영아와 유아 사망률을 추가하고, 교육 분야에 중등 교육기관 취학률을 추가하며, 수득 분야에 그 나라 소득 빈곤 발생률을 추가하자는 것이다. 또한, 인간 발전 수준이 높은 나라에는 중간 국가를 평가하는 지표에 한 가지씩을 추가하면 되는데, 수명 관련 지표에는 산모 사망률을, 교육 분야에는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을, 소득 분야에는 지니계수로 수정한 평균 국민소득을 추가하자는 것이다.
수나 지표보다는 지표 집합으로 표현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그런데도 왜 한가지 숫자로 인간 발전을 재려고 하는가? 한 가지 이점은 있다. 그러한 지수들은 주의를 집중시키고, 문제를 단순화하는 데에는 유용하다. 또, 그것들은 정치적으로 상당한 호소력을 갖는다. 왜냐하면 사람들 마음에 더욱 강한 충격을 주어, 많은 지표로 이루어진 긴 목록보다 더 강력하게 대중의 시선을 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 발전을 단지 수치로 나타내는 것은 무리인 것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인간 발전은 행복과 무관하지 않은데, 이 행복은 수치로만 표현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교육사회학 > 생활속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이 당신의 최후의 날이라고 가정하라 (0) | 2024.11.23 |
---|---|
일과 휴식의 낮과 밤 (0) | 2024.11.22 |
수탉과 올빼미의 논쟁 (0) | 2024.11.20 |
인간은 갈수록 뻔뻔해진다 (0) | 2024.11.19 |
질투 (0)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