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사회학의 개념

반응형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발달의 원리발달심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을 수용하고 있다. 그는 발달을 생태학적 과정으로 보았으며 발달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고 성장이라는 말을 사용하였으나 그가 말하

soni-history.tistory.com

 

 

  교육사회학은 교육 현상을 사회학적 방법을 통해서 교육 문제를 탐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즉, 교육사회학은 교육에 대한 연구로서 교육체제와 교육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집단의 관계를 사회학적인 연구에서 성취된 지식, 기술, 방법 등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교육사회학은 독립된 학문 성격보다는 교육학과 사회학을 접목한 학문적 영역으로 볼 수 있다.

 

 


  교육사회학은 우리나라 말로는 구별하기가 어렵지만 영어는 와 이로 구별된다. 교육사회학이 체계화된 학문의 영역으로 출발한 초기에는 한 용어가 많이 사용되다가 근래에 와서는 이 더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런 변화와 혼동은 사회학의 성격 규정에 대한 논란에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


  한신과 게살(Hansen & Gerstle)도 와 사이의 영역을 규정해 보려고 노력하였다. 그들은 이들 두 가지는 단순한 용어상의 차이가 아니라 은 경험적 탐구로서 구별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교육사회학에서 규범적 탐구는 정책이나 프로그램 또는 활동의 개발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필수적인 것을 확립하는 데 있다. 또한 경험적 탐구란 사회적 세계를 사회학자의 눈을 통해 보려고 하는 것을 말하며, 사회학자는 교육을 하나의 제도로 검토하고 이 제도가 갖고 있는 구조적인 내용과 보다 넓은 사회 안에서 그 제도가 어떤 기능을 하는가를 밝혀내려고 한다. 사회학자는 교육이란 제 도내의 사회적 구조에 관해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진다. 이런 질문은 언제나 가설의 형태로 주어진다. 이를테면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학업성취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서 사회학자는 객관적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는 데 그칠 뿐 그 결과가 실제로 학교의 개선을 위해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않는다. 그런가 하면 한신과 게살은 가 교육의 과정을 정책적인 차원에서 보는 것이라고 하면서 교육개혁을 위한 정책적 권고의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렇듯 교육사회학은 사회학의 지식을 교육 실천에 응용하려는 실천량 적 교육사회학으로부터 교육 현상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발견해 내려는 사회학 지향적 교육사회학으로 발전해 왔다.

 

티스토리

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까지 티스토리에서 나를 표현해 보세요.

www.tistory.com

반응형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등이론  (0) 2024.12.19
기능이론  (0) 2024.12.19
에릭슨의 인성 발달 이론  (0) 2024.12.18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0) 2024.12.18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0)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