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재건주의 교육철학

반응형

 

 

 

 

항존주의 교육철학

본질주의 교육철학교육철학의 기능교육의 가능성학자들의 정의듀이의 교육이론철학적 사유형식과 교육 프래그머티즘과 교육철학적 사유형식과 교육 프래그머티즘 흔히 실용주의라 불리는

soni-history.tistory.com

  교육을 통해서 사회를 개조하거나 이상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일련의 사상을 재건 주의라 한다. 이와 같은 사상은 일찍이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플라톤은 그의 저서 「공화국」에서 교육을 통해 이상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재건 주의 사상이 하나의 교육철학으로 표출된 것은 20세기에 진보주의 교육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교육철학의 필요성을 주창한 브라 멜들(T. Bra meld)에 의해서이다. 그는 교육이념의 핵심은 교육을 수단으로 하여 새로운 사회를 수립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브라 멜 드는 현대는 하나의 중대한 문화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 사회는 필연적으로 개조되어야 하며, 이 사회의 개조를 담당할 수 있는 것은 교육뿐이라고 하였다. 즉, 현대 문명의 병폐를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대처해 멸망해 가는 문화를 교육으로 지견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처해 멸망해 가는 문화를 교육으로 재건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브라 멜 드는 현대 교육의 과제를 교육에 대한 지원과 통제, 교육의 내용과 방법 쇄신, 학문적 자유의 존중, 학교와 사회의 관계 강화 4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재건 주의란 인류문화의 위기의식에서 출발한 사상이다. 현대 문화를 재점검하여 인류가 지향해야 할 올바른 문화상을 정립하는 데 교육의 역할이 있다고 보는 교육철학이다. 브라 멜 드는 인류의 문화적 위기의식을 강조하면서 종래의 교육으로는 이와 같은 위기를 극복할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이론과 사상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재건 주의라는 것이다. 그는 진보주의가 집단적 표현과 행동을 통합시키지 못한 자유주의의 약점을 보완하지 못한다고 본다. 본질주의는 구시대의 신념을 영속화해 새로운 역동적 문화를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항 전주의 보수성을 또한 지적하면서 기존의 교육사상으로서는 현대 문명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그렇다고 하여 재건 주의가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 전주와 전혀 다른 교육사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들 교육사상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보완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재건 주의가 나타나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실제로 항 전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 주의를 문화 연속체의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묘사하기도 한다.

  항 전주에는 과거를, 현재를, 본질주의는 과거와 현재의 중간 위치를, 재건 주의는 미래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손톱 려는 이와 같은 재건 주의의 교육원리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반응형

 

교육은 우리 문화의 기본 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사회질서를 현재 이 사회 속에서 창조해야 한다. 동시에 현 세계의 사회·경제적 여러 세력과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만 한다. 재건 주의를 위기의 철학이라고 말하는데, 다른 교육이론에서 들을 수 없는 긴박감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문명은 자기 파멸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한다. 교육은 인간 지성(마음)의 신호한 변화를 선도해야만 한다. 그리하여 우리의 의도에 달린 거대한 기술의 힘을 파괴보다는 창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회는 정치적 활동에 의해서가 아니라 교육을 통해서 사회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그들의 의해서가 아니라 교육을 통해서 사회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그들의 삶에 새로운 비전을 갖도록 해야 한다. 새로운 사회질서 창조는 긴박하며 절실한 것으로 지금 당장 실시해야만 하는 것이다.
  새로운 사회는 절실한 민주주의 사회이어야 한다. 모든 제도와 자원이 주민 스스로에 의해 통제되어야 한다. 이상사회는 민주주의 사회이기 때문에 그것은 민주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새로운 사회질서의 구조, 목표, 정책 등은 여론에 의해지지가 되어야 한다. 국가적 민주주의의 논리적 목표는 국제적 민주주의이다. 모든 국가가 참여할 수 있는 세계 정부를 형성해야 한다.

 


  아동, 학교, 교육 자체는 사회·문화적 요소들에 의해 조건 지어진다. 브라 멜들에 의하면, "진보주의는 개인적 자유를 지나치게 과대평가하고 있지만 우리가 사회에 의해 조건 지어진다는 점은 과소평가하고 있다." 사회가 개인을 만들어 가는 정도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화적 삶은 공동체 삶이다. 따라서 집단은 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야만 한다. 교육은 이 되어야 한다. 교육을 통해서 개인은 그의 본성 중 사회적 측면을 발달시킬 뿐 아니라 사회계획에 참여하는 방법 또한 학습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재건 주의자들의 문제해결 방식의 긴급성과 타당성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교사는 미주적 절차를 신중히 고려하여 이를 수행해야 한다. 브라 멜 들어가 의 원리라 부르는 것에 따르면, 교사들은 그의 입장에 대해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견해를 공개적으로 탐색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은 공평하게 대안을 제시해야 하며, 학생들이 그들 자기 생각을 옹호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더구나 우리가 모두 신념과 선호 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그것들을 옹호하거나 표현해야 할 뿐 아니라 절대다수에 의해 그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육의 목적과 방법은 현재의 문화적 위기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되어야 하며, 행동과학의 발견들과 일치하여야 한다.
  행동과학의 중요성은 인간에게 가장 가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 있다. 우리는 교육과정의 구성 방법, 고과 내용, 교육 방법, 행정구조와 교사 양성 등에 대해 새롭게 탐구해야만 한다. 이 모든 것을 합리적, 과학적으로 도출된 인간 본성의 통합된 이론과 일치되도록 재구성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재건 주의 사상을 지닌 대표적 학자들로 선은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있다. 「학교는 감히 새로운 사회질서는 세울 수 있는가?」의 저자인 카운트, 「재건 주의 교육철학을 향하여」의 저자인 브라 멜도, 「미래에 직면한 교육」의 저자인 벅슨과 러그 등의 교육자를 들 수 있다. 그리고 교육자는 아니지만 웰스, 쇼, 위험, 호출, 만하임, 벗어날, 베블렌, 몸 포드 등도 변천하는 시대에 적응한 교육을 실시할 것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재건 주의 교육사상의 선구자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재건 주의가 현대 문명의 위기의식을 교육으로 극복하려 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공헌을 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성을 지닌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다.

 

 


  재건 주의 교육철학은 교육의 힘을 과신하고 있다. 사회개조라는 것은 정치, 경제, 문화, 도덕, 종교 등의 복합적 요소들의 개혁을 수반으로 해서 가능한 것이다. 교육의 힘만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다. 실제 교육이 이들 사회에 제 요소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또 상당한 영향을 받기도 한다. 따라서 재건 주의가 주장하듯 새로운 사회로 개조는 교육의 힘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건 주의는 현대 문명의 위기가 급박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 사회질서의 창조를 통해 사회를 개조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가 그러나 교육을 통한 새로운 사회질서의 창조나 사회개혁은 많은 시가 늘 요한다. 따라서 재건 주의 교육을 통한 현대 문명의 위기 극복은 어렵다. 하겠다.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새로운 사회질서를 누가 정하는가?" 이러한 사회질서를 창조할 수 있는 교육을 누가 결정할 것인가 등에 대해서 재건 주의는 보다 확실한 답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 재건 주의자들은 절대다수의 합의에 따라 이와 같은 것들이 도출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사실 우리가 지향해야 할 사회질서나 교육을 이와 같은 절대다수의 합의에 따라 도출하기는 몹시 어렵다.
  행동과학을 지나치게 충실하며 맹종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교육은 전인의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고 볼 때 과연 관찰할 수 있는 행동과학에 의해서만 교육의 모든 사항이 결정되어야 하는가 하는 것은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행동과학만을 지나치게 중시할 때 인간을 통제할 수 있는 동물로 전락시킬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행동과학은 합리성에 의해 인과관계를 밝히고 행동의 결과를 예측한다. 그러나 인간은 합리성과 비합리성을 모두 지닌 존재이기에 때로 인간의 행동은 예측할 수 없을 때가 많다.
  확고한 미래의 설계를 제시하는 재건 주의 교육철학은 그 방법에 있어서 민주주의 방식을 주창하고 있다. 그러나 미성숙한 아동을 기성세대가 설계한 미래 사회로 조형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 또한 여기서는 기성세대가 설계한 미래 사회가 장차 아동들이 살아가야 하는 사회로 정당화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아동의 의지와는 무관할 수도 있으며 아동들이 자라서 과연 그 사회가 그들에게 이상사회라고 합의하게 될 것인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실존주의 교육철학

진보주의 교육철학실재론적 교육철학교육의 가능성학자들의 정의듀이의 교육이론철학적 사유형식과 교육 프래그머티즘과 교육철학적 사유형식과 교육 프래그머티즘 흔히 실용주의라 불리

soni-history.tistory.com

 

반응형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석철학  (0) 2024.12.17
실존주의 교육철학  (0) 2024.12.14
항존주의 교육철학  (0) 2024.12.12
본질주의 교육철학  (0) 2024.12.12
진보주의 교육철학  (0)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