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고대와 중세의 교육
시대적 특징
중세란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476년으로부터 동로마가 멸망한 1453년까지의 약 1000년 동안의 시기를 가리킨다. 서로마제국이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에 의해 멸망한 이후 유럽의 역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전의 로마의 통일성이 없어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민족 대이동의 혼돈으로부터 벗어나서 점차 내적·외적 통일성이 새롭게 형성되었다. 여기서 기독교와 고대 그리스 로마문화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거대하고 통일된 규정과 질서에 의해 모든 현상이 하나의 큰 전체 속으로 편입됨으로써 중세의 시대적 통일성이 형성되었다. 로마의 제국적인 사상, 기독교적인 동기, 게르만 민족으로부터 전래한 관습 등으로부터 엄격한 계급 규정을 지킨 봉건국가가 성립되었다. 이로써 중세 사회는 로마교황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와 민족적인 봉건국가에 의하여 새로운 질서를 확립하게 되었다.
중세는 고대의 문화와 사상을 바탕으로 기독교 사상에 의하여 시대적 통일성이 형성된 사기로서 모든 분야에서 단결된 요소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중세의 종교적 통일성은 교육이념과 내용의 통일성을 가져왔으며, 단일한 교육제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중세 전반에는 기독교 교화를 목적으로 기독교 학교 제도가 발달하였다.
중세 중반기로 접어들면서 세속적 교육이 나타났다. 게르만 민족의 교화 책으로서 칼 대제를 중심으로 한 교육사업이 전개되었고 봉건제도와 함께 기사 교육이 정비되었다. 농민계급을 위해서 특별하게 학교가 설립되지는 않았다. 그들 자녀는 가정 안에서 생활 과업을 배웠기 때문이다. 중세 후반에 이르러 봉건제도가 붕괴하여 가고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시민사회가 성립되었다. 이에 따라 세속 교육기관으로서 시민학교와 대학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처럼 중세에는 기독교가 종교적 통일성을 이룸으로써 주로 기독교적 교육이 실시되었지만, 기독교적 교육과 함께 세속적 교육도 존재했다. 물론 세속적 교육도 어느 정도까지는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기독교 교육
기독교
헬레니즘화 된 로마 세계 안으로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서로마 제국 말기에 지배계급은 향락과 사치에 흐르고 대중은 도탄에 빠졌다. 이로 말미암아 로마인들은 정신적인 위안을 기독교에서 얻고자 하였다. 신의 사랑과 그리스도 안에서 속죄로부터 오는 복음을 강조했기 때문에 기독교가 로마 사회로 강하게 수용되었다.
초기 기독교교회는 자유인과 노예를 구분하지 않았다. 신이 볼 때 인간은 자유민, 노예, 그리스인, 로마인, 남자, 여자가 아니라 단지 하느님의 창조물이며 자녀이다. 따라서 로마제국 말기의 무정부상태와 이에 따른 질병과 기아라는 약조 건에서 민중들은 정신적으로 의지할 곳을 기독교에서 구하게 되었다. 이제 로마제국은 기독교화된 로마가 된 것이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정치권력이 분산되자 로마교회가 정치권을 압도하게 되었다. 교회의 권한이 강해지자 수가 많아지게 되었다. 이에 교회는 로마제국의 행정 체제를 모방하여 교회 제도를 정비하였다. 로마교회는 프랑크 왕국과 손을 잡고 게르만 민족을 개종하는 일에 착수하는 한편, 서구에 기독교를 널리 전파하였다.
중세 사회에서 기독교 종교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기본토대이며 이상적인 표준적이었다. 교회는 모든 것을 포괄하고 규정짓는 최고의 힘을 지녔다. 교회는 국가를 대신하여 교육의 권위를 지니게 되었으며, 교육의 실질적인 제공자와 지도자가 되었다.
기독교 학교제도
기독교 사상에 의한 중세의 통일성은 교육이념과 내용의 통일성을 가져왔으며, 단일한 기독교 학교 제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중세 기독교 교육은 인간을 순종(섬김)과 신앙으로 이끌고 기독교적 완전성으로 이끄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인간을 종교적 교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만들어 천국의 시민이 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 교회에는 이교도를 개종시키거나 세계를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 기독교의 기본교리를 가르치기 위해 문답 학교가 세워졌다. 그러나 중세에서 학교는 일차적으로 성직자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었고 교사들도 대부분 성직자였다. 이러한 연관에서 교회에는 문답 학교의 교사 및 교회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고급 문답 학교가 있었다. 또한 좀 더 수준 높은 교육을 통해 교회 성직자를 양성하기 위해 각 교구의 대성당 소재지에 대성당 학교가 세워졌다. 대성당 학교는 기독교 교육기관 중에서 가장 높은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중세 교육의 중심을 이루게 되었으며 중세 기독교사상 발상의 근원이 되었다. 기독교 교리의 이론적 틀을 마련한 스콜라 철학도 이 학교의 교사들(Scholastic us)이 중심이 되어 전개된 것이다.
중세 전반기에 출현한 가장 중요한 교육기관으로서 수도원학교가 있다. 수도원학교는 수도사를 양성하기 위해 수도원에 부설된 학교를 가리키는 것으로써, 원래 수도사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나중에는 일부 수도원에서 일반 아동도 수용하여 가르쳤다. 교육과정은 초등과정은 초등과정과 고등과정으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초등과정에서는 읽기, 쓰기, 셈하기의 기본교과의 음악, 라틴어, 문법, 시편 암기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고등과정에서는 7가지 "자유 교과"가 가르쳐졌다. 그 밖에 수도원은 농경, 목공, 야금, 직물 등의 일을 통해 노동의 신성성을 보여주었으며, 고전을 필사하고 보존하여 고대의 문화를 전수하는 역할을 하였다.
중세 시대에 교회가 교육을 담당하게 된 것은 근본적으로 교육 그 자체가 좋아서라기보다는 교육이 없이는 교회의 일을 제대로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교육이 교회의 전적인 권한으로 실시됨으로써 교육의 목적은 현세가 아닌 내세에 있었으며, 그에 따라 교과목이 내용도 달라졌다. 어떠한 형식으로 실시되든지 교육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신앙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데 있었다. 그리하여 교육받은 사람의 전형적인 모습은 교양을 갖춘 실무자가 아니라 교육받은 성직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