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
서구 및 일본 제국주의 세력의 도전은 당시 정부 관리들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들에게 위기의식을 불러일으켰으며, 이것의 당연하나 결과로써 하루빨리 개화를 통해 부국강병을 달성하여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이들은 모두 개화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 바로 교육임을 믿어 의심하지 않았고, 그들 나름대로 근대학교 설립을 위해 노력했다. 그중에서도 일반 민간인들의 활동은 정부보다 더욱 활발하였는데, 특히 설립된 근대학교의 숫자 면에서 정부를 압도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최초의 근대학교 설립에서도 민간인들이 정부보다 앞섰다. 그것이 바로 1883년에 세워진 원산학교였는데 그 설립 배경과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1876년 강화도 조약에 따라서 1880년에 개항된 원산항에는 곧바로 일본인 상인들이 대거 진출하였다. 그 후 원산의 시장경제는 이들 일본인 상인에 의해 급속도로 잠식당하게 되면서 이곳 주민들은 위기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주민들은 일본인 상인들에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도 새로운 시대를 담당할 인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고, 관할 관청에 자신들이 재정 부담을 하겠다는 조건으로 근대학교 설립을 요청하게 되었다. 이처럼 원산학교 설립의 배경에는 외국의 침략에 대한 위기의식 그리고 그 대안은 바로 근대학교의 설립이 급선무라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민간 근대학교 설립은 민족주의적 성향을 지닌 지식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당시 기울어 가는 국운을 바로 잡고 부강한 국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민들의 해화가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교육사업에 힘을 쏟았다.
민간인들에 의한 근대학교 설립은 1905년 11월 일본의 강요에 의한 을사늑약을 계기로 해서 변화하게 된다. 즉 을사늑약 이후부터는 종전의 개화운동에서 이제는 교육을 통하여 읽어버린 국권을 되찾겠다는 교육 구국 운동의 차원에서 사립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 그중에서 보성학교(1905, 고려대학교의 전신)는 이용익이 교육 구국의 이념에 따라 설립한 학교였으며, 안창호가 설립한 대성학교(1907)와 남강 이승훈의 오산학교(1907)는 민족의식이 강하기로 이름난 학교들로서 당시 일제의 감시 대상이었다.
그런데 우리는 당시의 민간인 근대학교의 숫자가 어느 정도였는가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구한말의 애국지사였던 황 현의 《매천야록》에는 1910년 국권 피탈 직전까지 그 내실이야 어찌 되었든 간에 3,000여 개의 사립학교가 세워졌다고 되어 있다. 그렇다면 이 많은 숫자의 학교가 모두 소위 저항 민족주의를 표방하면서 설립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인가? 그보다는 국민 대중의 교육열 때문이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갑오개혁 이후 신분제도가 타파되면서 이제는 누구나 출신과 관계없이 입신출세가 가능한 세상이 도래하게 되었다. 그런데 출세를 위한 기본요건은 바로 신지식의 습득이었고 신지식을 배우기 위해서는 근대식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었다. 당시에 엄청난 수의 사립학교는 바로 이러한 교육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세워졌다. 그러나 당시 민간인 설립의 근대학교 중 많은 수가 일정한 격식을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구한말의 민간인 사학들이 국민 대중의 교육적 필요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응하려 했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학교는 종전의 서당로와 동일 선상에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교육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화기 교육 읽기 (0) | 2024.10.15 |
---|---|
선교단체 설립의 근대학교 (0) | 2024.10.15 |
식민지시대의 교육 (0) | 2024.10.15 |
정부 설립의 근대학교 (0) | 2024.10.15 |
미군정기시대의 교육 (0) | 2024.10.14 |